-
-
안녕하세요!
요즘은 내집마련 ! 부동산이 핫하죠 ?
오늘은, 임대주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 주택의 종류로는,
행복주택
국민임대
호텔 리모델링형 공공임대주택
등등의 다양한 임대주택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공임대주택에 대해 이야기 해 드릴게요.
1. 영구임대주택과 50년 공공임대 주택
종류 | 전용 면적 | 기간 |
영구임대주택 | 40m² 이하 | 영구 이용 가능 |
50년 공공임대 주택 | 60m² 이하 | 50년 임대 가능 |
영구임대주택과 50년 공공임대 주택은, 보증금과 임대료가 시세의 30% 수준으로 책정이 됩니다.
자격요건으로는,
소득 1분위의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국가유공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한 부모 가족
등 사회보호계층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건설된 임대주택입니다.
2. 국민 임대
전용 면적 | 기간 |
85m² 이하 | 30년 거주 가능 |
국민 임대 주택은, 보증금과 임대료가 시세의 6~80% 수준으로책정이 됩니다.
자격 요건은,
소득 2~4분위의 무주택 저소득층
의 주거안정을 위해 건설 및 공급을 하는 임대주택입니다.
3. 장기전세
전용 면적 | 기간 |
85m² 이하 | 20년 임대 가능 |
장기전세주택은, 보증금과 임대료는 시세의 80% 수준으로 책정이 됩니다.
자격 요건은,
소득 3~4분위의 무주택세대 구성원
이 신청 할 수 있습니다.
4. 매입임대
전용 면적 | 기간 |
85m² 이하 | 20년 거주 가능 |
5. 10년 공공임대
전용 면적 | 기간 |
85m² 이하 | 5년 또는 10년 후, 분양전환 |
10년 공공임대주택은, 보증금과 임대료는 시세의 90% 수준으로 책정이 됩니다.
자격 요건은,
소득 3~5분위의 무주택세대 구성원
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6. 전세임대
전용 면적 | 기간 |
85m² 이하 | 20년 임대 가능 |
전세 임대 주택은, 도심 내 최저소득계층이 현 생활권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기존 주택에 대해 전세계약을 한 후,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사업입니다.
수도권은 최대 9천만원, 광역시는 7천만원, 기타지역은 6천만원까지 지원합니다.
7. 행복주택
전용 면적 | 기간 |
60m² 이하 | 최대 30년까지 거주 가능 |
행복주택은, 보증금과 임대료가 시세의 6~80% 수준으로 책정이 됩니다.
자격 요건은,
대학생,
신혼부부,
청년
등을 위해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이 편리한 곳에 짓는 임대료가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입니다.
8. 신혼희망타운
전용 면적 | 기간 |
60m² 이하 | 최장 10년 가능 |
신혼희망타운은, 육아 및 보육 등 신혼부부 수요를 반영해서 특화 설계한 주택입니다.
자격 요건은,
신혼부부 및 예비 신혼부부
한 부모 가정
등 에게 공급이 됩니다.
분양형과 임대형이 존재하는데, 임대형은 버팀목 전세 자금 대출을 통해서, 최저 연 1.2%로, 최장 10년간 임차보증금의 80%까지 지원합니다.
9. 주거복지동주택
전용 면적 | 기간 |
40m² 이하 | 30~50년까지 거주 가능 |
주거복지동주택은, 기존 영구임대주택단지 안에 있는 여유부지에 임대주택과 주거복지시설을 결합시킨 장기공공 임대주택 입니다.
자격 요건은,
고령자 및 장애인,
의료급여수급자
등 서민 주거 안정과 집중케어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는 목적을 가진
임대주택입니다.
10. 공공기숙사
전용 면적 | 기간 |
7m² ~ 157m² 이하 | 최대 4년 |
공공기숙사는,
거주시설이 부족한 대학생을 위해
기숙사형, 다가구형, 그룹형
등 다양한 주거형태로
학생들의 안전한 생활을 지원하는 임대주택입니다.
11. 호텔 리모델링형 공공임대주택
전용 면적 | 기간 |
13m² ~ 17m² 이하 | 최대 6년 가능 |
호텔 리모델링형 공공임대주택은, 정부에서 2022년까지 호텔과 오피스텔을 리모델링해서, 1만 3천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보증금과 임대료가 시세의 45%로 책정이 됩니다.
공유 회의실 및 카페 등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격 요건은,
공고일 기준으로 무주택자,
도시근로자 월 평균 소득 70% 이하인 만 39세 이하의
대학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청년
이 입주할 수 있습니다.
-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임대주택의 종류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임대 주택에 입주하기위해서는, 더욱 상세한 자격 요건을 갖추고, 모집 공고에 맞춰서 사업주체의 홈페이지나 현장접수를 통해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입주자가 당첨이 되면,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잔급을 납부한 후, 입주를 하시면 됩니다.
그럼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와 양도에 대해서! 부모님 차를 받는다면! (0) | 2024.09.23 |
---|---|
증여와 증여세 그리고 세금 완전 정복!! (0) | 2024.09.19 |
증여와 세금인 증여세! 그리고 증여세율에 대해서! (0) | 2024.09.19 |
직계존속과 직계비속 그리고 혈족과 방계혈족에 대해서! (0) | 2024.09.13 |
내집마련 로또청약 ! 청약 공공분양 민간분양 정리 (0) | 2024.09.11 |
골프가 처음인 당신에게! 골프장비에 대해서 (0) | 2024.09.09 |
골프초보가 알아야하는 필수 골프용어 (0) | 2024.09.09 |
골프가 처음인 당신에게! 골프규칙에 대해서 (0) | 2024.09.09 |